본문 바로가기
돈 되는 지식

챗지피티(chatGPT) 사용법 글쓰는법 꿀팁2. – 글의 스타일, 분량, 순서, 말투

by 인포뉴스_ 2024. 7. 31.

지난 시간에 챗지피티에 글을 작성시키는 실전 꿀팁 3가지 단계를 알려드렸는데요, 여기에서 '나는 좀더 커스터마이징 된 글을 쓰고 싶다'하시는 분들은 더 디테일한 요청을 통해 글의 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 시간이 더 걸리는 것이 아니라 같은 시간에 양질의 글을 쓰는 방법이므로 입맛에 맞게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챗지피티에게 글의 스타일 요청하기

이번 내용을 보기 전에 지난시간에 알아보았던 '글쓰기 수준 3단계'를 꼭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제대로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2024.07.30 - [돈 되는 지식] - 챗지피티(chatGPT) 사용법 실전 블로거 꿀팁1. - 글작성 시키기 3단계

 

지난시간에 글을 작성할 때 "~~주제로 블로그 글을 작성해줘" 라고 챗지피티에 요청을 했었는데요, 여기서 글의 스타일을 지정해 줄 수 도 있습니다.

 

 

1.글의 형식 요청

블로그형식으로, 마크다운방식으로, 기사문형식으로, 서술형식으로, 개조식으로, 보고서형식으로 등등으로 요청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하게 원하는 방식대로 요청하여 쓸 수 있습니다.

👉(참고) 글의 기교: 강조법, 과장법, 열거법, 도치법, 비유법 등등

👉(참고) 글의 형태: 잡지, 소설, 희극, 수필, 일기, 공문, 이메일, 저녈 등등

 

2.글의 순서 요청

시간순서대로 써줘. 시간순서대로 나열해줘. 또는 시간 역순으로 나열해줘 가 가능합니다.

 

3.특정 단어 요구

"~~~라는 단어는 빼고 작성해줘" 라고는 명령도 가능합니다. (기피해야 하는 단어가 있는 경우 요긴합니다.)

네이버나 티스토리의 경우 (공식적 또는 암묵적으로) 사용하면 안된다 하는 키워드들이 있는데요

 

 

그러한 단어들을 일일이 빼주기 어려울때도 편리합니다.

👉(참고) 검색 노출 제한 사유안내(네이버 고객센터)

 

예를들어 보험의 중요성에 대해 서술글을 쓴 후에

 

이 글에서 '보험'이라는 단어만 제외시킵니다. (빼고 작성해줘 라고 하면 안먹히는 경우가 많으니 '제외하고'라는 단어를 쓰면 좋습니다.)

 

4.말투(어투)를 지정

말투를 지정해서 작성시킬 수 있습니다. 높임말로 해줘, 존대말로 해줘, 공손한말투로 해줘 등으로 가능하며, 또는 20대여성 말투로, 40대여성말투로, 남성의 근엄한 말투로 등등 응용 가능합니다.

예시) "~~에 대해 블로그 글을 작성해줘. 말투는 40대 여성의 공손한 말투를 사용해줘.

 

글의 분량/내용 추가 및 요청하기

1.글의 분량을 요청

글이 너무 길거나 짧을때는 분량을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위 내용을 70%분량으로 작성해줘" 라던지, 또는 "이 내용을 3000자 분량으로 작성해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명령어는 제대로 먹힐때와 안먹힐때가 6:4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아직은 분량이라는 것에 대한 조절이 쉽지는 않은 모양입니다.

 

2.글의 내용을 추가

글을 긁어와서 붙이는 것 이외에도 스스로 학습해서 맥락을 읽고 글을 추가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매번 되는 것은 아니나 종종 유용합니다.

예를들어 대한민국 대통령 순서를 1~5까지만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이후에 6~10까지를 알아서 작성해 주는 식입니다. 단, 2021년까지 지식밖에는 없다는점은 참고해야 합니다.

 

기타 알아두면 유용한 것들

글 작성을 요청할 때 알아두면 좋을 기타 소소한 내용들 몇가지를 더 알려드립니다.

 

1.글이 잘 작성이 안될때는 세부순서까지 정해주자

예를들어 "감자의 효능에 대해 블로그 글을 작성해줘"라는 글을 작성시켰는데 마음에 안드는 결과물이 나온다면? 아래와 같이 바꿔서 작성을 시키면 더 좋습니다.

 

 

🔎 예시)

감자에 대해서 보고서 형식으로 써줘. 글의 분량은 3000자 이상이며 작성 순서는 아래순서로 해줘.
- 감자란?
- 감자의 유래는?
- 감자의 효과 10가지는?
- 감자의 부작용 5가지는?
- 감자의 적절한 섭취량은?
- 감자에 들어간 성분은?
- 맺음말로 글 전체를 50자로 요약

 

2. 잘 안될때는 단어를 바꿔보자

단어를 잘 써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위 내용을 블로그 글로 다시 정리해줘' 라고 명령하면 대부분 요약을 해 버립니다. 정리를 '일목요연하게 제대로(properly)' 가 아니라 '요약한다(summary)'라고 인식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이런 것들이 자주 있으니 잘 안될때는 요청 단어를 바꿔보거나 또는 아예 영어로 요청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때 가장 유용한 번역기는 구글? 카카오? NO! 네이버 파파고 입니다. 구글번역기와 카카오번역기, 네이버파파고를 모두 사용해 본 결과 한국어는 파파고가 압도적으로 잘 합니다.

 

특히 파파고에 있는 '높임말로 바꾸기'기능까지 함께 사용하면 더 부드럽고 유연하게 번역이 됩니다. 번역기는 파파고를 추천합니다.

 

챗지피티는 초기에는 영어를 한국어에 비해 훨씬 월등히 잘 인식했으므로 안될때는 영어로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차이 없이 한국어도 잘 이해하므로 큰 문제는 없습니다.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안될때는 이렇게 하자

그래도 못알아듣고 버벅이거나 엉뚱한 답변을 계속적으로 늘어놓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새로 시작하세요.

 

 

꼭 창을 닫고 다시 할 필요는 없고, 좌측 상단에 새로운 글쓰기(New Chat)를 하면 됩니다. 그럼 다시 똑똑한 챗지피티로 돌아옵니다.

 

이렇게 챗 지피티 사용 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것 외에도 소소한 팁들을 각자 가지고 계실 것 같습니다. 저도 이 외에도 종종 사용하는 방법들이 있는데요, 도움이 되는 것들이 있다면 더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즐거운 글쓰기 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