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되는 지식

무주택 확인서 발급방법 발급기관 (인터넷 발급) 세목별 과세증명서

by 인포뉴스_ 2024. 8. 2.

안녕하세요! 오늘은 무주택확인서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무주택확인서는 현재 집이나 분양권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인증해주는 확인서입니다. 주택청약이나 정부의 전월세 지원제도 혜택을 받기 위해 꼭 필요한 문서입니다. 발

 

무주택 확인서 발급방법 안내

무주택확인서는 내가 현재 소유하고 있는 집이나 분양권이 없다는 사실을 인증해주는 확인서입니다. 주택청약이나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정부의 전월세 지원제도의 혜택을 받기 위해 필요합니다. 무주택확인서를 통해 세금혜택이나 주택 마련 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유리한 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무주택확인서 발급방법

1. 은행 방문하기

청약통장을 만든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무주택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 시 준비해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증명서

방문 전에 각 해당 은행에 연락하거나 은행 홈페이지를 통해 필요한 서류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은행 홈페이지 이용하기

은행 홈페이지에서도 무주택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 홈페이지에 공동인증서 등으로 로그인하여 연말정산/납입증명서 메뉴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PDF로 저장할 수도 있어 편리합니다.

 

3. 정부24 홈페이지 이용하기

직장인이나 은행 방문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정부24 홈페이지에서도 무주택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자주찾는 서비스' 메뉴에서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을 클릭합니다.
  • '민원신청하기'를 선택하고 본인 인증을 거친 후 발급받습니다.

 

무주택확인서는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와 동일한 효력을 가집니다.

 

수령방법은 직접출력, 문서지갑, 3자제출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회원가입 없이도 이용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합니다.

 

정부24 무주택확인서 발급하기

 

 

무주택확인서 발급 조건

무주택확인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주택청약통장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 연간 총 급여 합계가 7천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 세대주 자격을 갖춘 무주택세대주여야 합니다.

 

무주택확인서 필요 사유

무주택확인서는 주택청약을 신청할 때 많이 필요합니다. 또한,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서도 무주택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주택청약 소득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과세연도 소득 7천만원 이하인 무주택세대주가 과세연도 다음년도 2월말까지 무주택확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오늘은 무주택확인서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주택청약을 신청하거나 정부의 전월세 지원제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주택확인서가 꼭 필요합니다. 은행 방문, 은행 홈페이지, 정부24 홈페이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이 내용을 참고하여 무주택확인서를 발급받아보세요.

댓글